세계 경제 전반: 견고한 성장세와 확대된 안정성
- (개괄) 미국 경기의 활황 지속, 일본의 경기 부진 극복, 유럽의 경기 회복세, 아시아의 두드러진 경기 상승과 더불어 중남미 경제의 회복 진입, 중동 지역 경제의 회복 등으로 인해 '보다 견고한 성장세'를 보일 것임
·세계 경제 성장률은 1999년 2.9%에서 2000년에는 3.9%로 높아지고 2001년 3.7%, 2002년 3.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기초(Baseline) 전망)
·(미국) 예상보다 빠른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경기 후퇴의 위험도는 10∼15% 정도에 불과한 상황임. 또한 실업률이 임금 인플레를 유발하지 않는 가운데 꾸준히 낮아지고 있으며, 설비투자가 높은 생산성 증가를 견인하고 있음
·(EU) 미국 경제의 활황 지속, 유로화 약세로 인한 수출 증가 등으로 인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경기 호전 양상은 더욱 진전될 것임
·(아시아) 제조업 부문의 고성장, 수출 증대, 소비 진작 등에 따라 활황세를 지속
·(일본) 민간 부문의 회복이 경기 호전을 강하게 견인하는 한편 소비자와 기업의 경기 호전 기대가 크게 제고되고 금융시장 상황도 개선되고 있음
·(중남미) 부진 국면을 탈피하여 회복 국면이 전개될 것으로 판단됨
·(중동, 아프리카) 원유를 비롯한 상품 가격의 상승에 따라 성장세를 나타낼 것임
- (위험 요소) 세계 주식 시장의 불안정 및 아시아 경제위기 재발 가능성, 유럽의 불경기 재진입 가능성 등의 위험 인자도 내포되어 있음
·세계 주식 시장 붕괴 가능성의 경우 미국 내에서의 '버블' 폭발 가능성 여부 및 연방 정부의 대응 방식 등이 논의, 평가되어야 할 것임
·아시아 위기 재발 가능성(15% 확률, 특히 2∼3년내)의 경우 재정 개혁, 기업 관리, 부채 축소, 경제 구조조정의 성공 여부에 따라 중장기 성장 견인도 좌우됨
·일본 경제의 경우는 금융부문 문제와 정치력 결여에 따른 회복세 이탈(20% 확률)의 가능성이 있으며, 브라질 경제의 퇴보 가능성도 35% 정도로 판단됨
·또한 유럽 경제가 또다시 불경기 국면을 보일 수도 있다는 점과 보호주의 강화에 따른 교역 성장의 둔화도 고려될 수 있음
- (高성장 시나리오) 몇몇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경우, 세계 경제가 高성장세를 나타낼 가능성도 25%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고성장 시나리오(Stronger Growth Scenario) 하에서 세계 경제 성장률은 2000년에 4.4%로 크게 높아지고 2001년 4.2%, 2002년 3.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권역별 경제 전망
- (미국 및 캐나다: 성장 가속화) 미국 경제는 예상외의 호조세가 지속되면서 2000년에도 고성장을 이룰 전망이며, 캐나다 경제도 보다 견고해질 것임
·미국 경제는 예상보다 빠른 소비와 산업 생산의 증가에 힘입어 2000년에 4.6%, 2001년에는 4.0%의 경제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첨단 정보 산업에 대한 투자와 생산성 증가가 경제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캐나다도 미국 경제의 확장에 영향을 받아 소비가 확대되고 설비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올해 3.5%의 경제 성장이 예상됨
- (일본: 본격 회복세) 개인 소비 지출 증가와 여러 가지 경제 개혁으로 2000년 하반기 이후부터 본격적인 회복세가 시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일본에서도 시장 개혁, 규제완화, 기술 혁신, 벤처 투자 등이 증가함에 따라 신경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변화의 조짐은 금융 부문에서 두드러지고 있는데, 상업은행과 지역은행 등이 합병하여 세계 최대 은행이 탄생하고 규제 완화로 국제 금융 기관들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 중요한 변화로 주목됨
·또 도요다, 소니 등 주요 자동차나 전자업체들이 신흥 시장 개척을 위해 신제품 개발에 열중하고, 과거의 폐쇄적 구조에 탈피하여 미국 및 유럽의 동종 업체들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음
·따라서 일본 경제는 이러한 변화들이 결실을 맺음에 따라 1999년보다 성장 폭이 더욱 증가하여 2000년에는 1.6%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 (EU 성장 궤도 진입) 미국 경제의 성장과 유로화 약세로 인한 수출 증가에 힘입어 유로 경제도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됨
·수출 증가율의 확대, 기업 신뢰도 및 투자 증가 등으로 고용이 증가하고 소비가 확대될 것임
·높은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증가와 기술 혁신에 따른 비용 감소가 수요측 물가 인상 압력을 완화시켜 물가는 1%대에서 안정될 전망
·반면 유럽 중앙은행(ECB)의 추가 금리 인상 조치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동반 금리 상승으로 유로화 가치는 더욱 약화될 것으로 예상됨
- (아시아: 고성장 시대 재도래) 정치적 안정, 외국인 직접 투자 증가, 소비 증가 등으로 추가 성장이 가능해져 과거와 비슷한 6%대 이상의 고성장이 전망됨
·특히 한국, 중국, 타이완의 경제 성장이 급속히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수출과 외국인 직접 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이기 때문임
·중국의 경우 올해 WTO 가입이 예상되면서 수출 증가세가 가속화되고 외국인 직접 투자는 2000년 1/4분에만도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110억 달러에 달함
·한국도 대외 거래의 폭발적 증가로 7%대 이상의 높은 성장세가 예상되고, 특히 남북 관계 개선에 따른 건설, 비료 등 일부 산업의 붐도 기대됨
·그러나 인도네시아, 태국 등 일부 아시아 국가의 경우 정치적 불안정과 금융 개혁 부진으로 성장세 회복이 약간 지연될 것으로 전망됨
- (중남미 및 기타: 견고한 성장세) 중남미 국가들은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이 러시아 및 동유럽 국가들은 경제 개혁 지속이 성장 동인(動因)으로 작용할 전망
·개인 휴대 통신 산업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특히 인터넷 산업이 새롭게 부각됨으로써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보임
시사점
- (세계 경제의 성장이 기대) 당분간 세계 경제의 호조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세계 경제의 성장세 지속은 바로 교역량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기 때문임
- (수출 확대에 역점) 세계 수요 증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출 증대 전략이 절실히 요구됨
·특히 일부 국가에 국한되어 있는 수출선을 다변화시키기 위해 각 지역 특성에 걸맞은 상품 개발을 통해 틈새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음
<출처: VIP Report 제2000-20호/2000.5.30>
- (개괄) 미국 경기의 활황 지속, 일본의 경기 부진 극복, 유럽의 경기 회복세, 아시아의 두드러진 경기 상승과 더불어 중남미 경제의 회복 진입, 중동 지역 경제의 회복 등으로 인해 '보다 견고한 성장세'를 보일 것임
·세계 경제 성장률은 1999년 2.9%에서 2000년에는 3.9%로 높아지고 2001년 3.7%, 2002년 3.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기초(Baseline) 전망)
·(미국) 예상보다 빠른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경기 후퇴의 위험도는 10∼15% 정도에 불과한 상황임. 또한 실업률이 임금 인플레를 유발하지 않는 가운데 꾸준히 낮아지고 있으며, 설비투자가 높은 생산성 증가를 견인하고 있음
·(EU) 미국 경제의 활황 지속, 유로화 약세로 인한 수출 증가 등으로 인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경기 호전 양상은 더욱 진전될 것임
·(아시아) 제조업 부문의 고성장, 수출 증대, 소비 진작 등에 따라 활황세를 지속
·(일본) 민간 부문의 회복이 경기 호전을 강하게 견인하는 한편 소비자와 기업의 경기 호전 기대가 크게 제고되고 금융시장 상황도 개선되고 있음
·(중남미) 부진 국면을 탈피하여 회복 국면이 전개될 것으로 판단됨
·(중동, 아프리카) 원유를 비롯한 상품 가격의 상승에 따라 성장세를 나타낼 것임
- (위험 요소) 세계 주식 시장의 불안정 및 아시아 경제위기 재발 가능성, 유럽의 불경기 재진입 가능성 등의 위험 인자도 내포되어 있음
·세계 주식 시장 붕괴 가능성의 경우 미국 내에서의 '버블' 폭발 가능성 여부 및 연방 정부의 대응 방식 등이 논의, 평가되어야 할 것임
·아시아 위기 재발 가능성(15% 확률, 특히 2∼3년내)의 경우 재정 개혁, 기업 관리, 부채 축소, 경제 구조조정의 성공 여부에 따라 중장기 성장 견인도 좌우됨
·일본 경제의 경우는 금융부문 문제와 정치력 결여에 따른 회복세 이탈(20% 확률)의 가능성이 있으며, 브라질 경제의 퇴보 가능성도 35% 정도로 판단됨
·또한 유럽 경제가 또다시 불경기 국면을 보일 수도 있다는 점과 보호주의 강화에 따른 교역 성장의 둔화도 고려될 수 있음
- (高성장 시나리오) 몇몇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경우, 세계 경제가 高성장세를 나타낼 가능성도 25%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고성장 시나리오(Stronger Growth Scenario) 하에서 세계 경제 성장률은 2000년에 4.4%로 크게 높아지고 2001년 4.2%, 2002년 3.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권역별 경제 전망
- (미국 및 캐나다: 성장 가속화) 미국 경제는 예상외의 호조세가 지속되면서 2000년에도 고성장을 이룰 전망이며, 캐나다 경제도 보다 견고해질 것임
·미국 경제는 예상보다 빠른 소비와 산업 생산의 증가에 힘입어 2000년에 4.6%, 2001년에는 4.0%의 경제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첨단 정보 산업에 대한 투자와 생산성 증가가 경제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캐나다도 미국 경제의 확장에 영향을 받아 소비가 확대되고 설비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올해 3.5%의 경제 성장이 예상됨
- (일본: 본격 회복세) 개인 소비 지출 증가와 여러 가지 경제 개혁으로 2000년 하반기 이후부터 본격적인 회복세가 시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일본에서도 시장 개혁, 규제완화, 기술 혁신, 벤처 투자 등이 증가함에 따라 신경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변화의 조짐은 금융 부문에서 두드러지고 있는데, 상업은행과 지역은행 등이 합병하여 세계 최대 은행이 탄생하고 규제 완화로 국제 금융 기관들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 중요한 변화로 주목됨
·또 도요다, 소니 등 주요 자동차나 전자업체들이 신흥 시장 개척을 위해 신제품 개발에 열중하고, 과거의 폐쇄적 구조에 탈피하여 미국 및 유럽의 동종 업체들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음
·따라서 일본 경제는 이러한 변화들이 결실을 맺음에 따라 1999년보다 성장 폭이 더욱 증가하여 2000년에는 1.6%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 (EU 성장 궤도 진입) 미국 경제의 성장과 유로화 약세로 인한 수출 증가에 힘입어 유로 경제도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됨
·수출 증가율의 확대, 기업 신뢰도 및 투자 증가 등으로 고용이 증가하고 소비가 확대될 것임
·높은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증가와 기술 혁신에 따른 비용 감소가 수요측 물가 인상 압력을 완화시켜 물가는 1%대에서 안정될 전망
·반면 유럽 중앙은행(ECB)의 추가 금리 인상 조치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동반 금리 상승으로 유로화 가치는 더욱 약화될 것으로 예상됨
- (아시아: 고성장 시대 재도래) 정치적 안정, 외국인 직접 투자 증가, 소비 증가 등으로 추가 성장이 가능해져 과거와 비슷한 6%대 이상의 고성장이 전망됨
·특히 한국, 중국, 타이완의 경제 성장이 급속히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수출과 외국인 직접 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이기 때문임
·중국의 경우 올해 WTO 가입이 예상되면서 수출 증가세가 가속화되고 외국인 직접 투자는 2000년 1/4분에만도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110억 달러에 달함
·한국도 대외 거래의 폭발적 증가로 7%대 이상의 높은 성장세가 예상되고, 특히 남북 관계 개선에 따른 건설, 비료 등 일부 산업의 붐도 기대됨
·그러나 인도네시아, 태국 등 일부 아시아 국가의 경우 정치적 불안정과 금융 개혁 부진으로 성장세 회복이 약간 지연될 것으로 전망됨
- (중남미 및 기타: 견고한 성장세) 중남미 국가들은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이 러시아 및 동유럽 국가들은 경제 개혁 지속이 성장 동인(動因)으로 작용할 전망
·개인 휴대 통신 산업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특히 인터넷 산업이 새롭게 부각됨으로써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보임
시사점
- (세계 경제의 성장이 기대) 당분간 세계 경제의 호조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세계 경제의 성장세 지속은 바로 교역량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기 때문임
- (수출 확대에 역점) 세계 수요 증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출 증대 전략이 절실히 요구됨
·특히 일부 국가에 국한되어 있는 수출선을 다변화시키기 위해 각 지역 특성에 걸맞은 상품 개발을 통해 틈새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음
<출처: VIP Report 제2000-20호/2000.5.30>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상회담 이후 남북경협 전망 (0) | 2001.01.15 |
---|---|
[하반기 경제 5대변수] 전문가 진단 (0) | 2001.01.15 |
고유가 시대에 대비한 경제정책 방향 (0) | 2001.01.15 |
닷컴 기업의 위기와 성장전략 (0) | 2001.01.15 |
근로시간 단축과 뉴 트렌드 (0) | 200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