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맨큐]제13장 생산비용

자료 다운로드 : 13.ppt

제9주 강의(제13장)
우리는 이제 가상강좌의 반환점을 돌아가는 셈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여러분 모두 많은 수고했습니다. 이제 나머지 절반을 향해 가도록 합시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강의는 사실 쉬운 편에 속한 것이었음을 이 시점에서 솔직히 먼저 말해놓아야 할 것 같습니다. 나머지 절반은 좀더 복잡하고 이해를 충실히 해야 할 것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다음 14-17장들은 시장조직의 형태에 따라 기업의 최적행동이 어떤 것인가를 보고, 여기 13장에서는 그런 기업들 모두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비용조건에 관해 살펴봅니다.
=2= 그것은 곧 기업의 공급곡선이 우상향한다고 했는데, 왜 그런지, 즉 기업의 공급곡선을 도출하는 것과 같습니다.
=3= 첫째는 기업 자체의 의사결정 원리에 관해, 둘째는 기업행동과 시장형태의 상호관련에 대해
=4..6= 기업활동의 목표는 이윤극대화, 이윤=총수입-총비용=생산자잉여


=7= 위에서 총수입에 관해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데, 비용개념은 조금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8=9= 보통 다른 책에서는 비용개념을 회계학적 비용과 경제학적 비용으로 구별하고 그 차이를 강조하는데, 여기에서는 이렇게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으로 구별하고 있다(이렇게 나누는 것이 오히려 혼동스럽게 하는 느낌도 드는데). 회계학적 비용은 명시적 비용만 취급하는데, 화폐지출이 직접 이루어진 부분을 가리킨다. 경제학적 비용(=기회비용 opportunity cost)은 명시적 비용뿐만 아니라 암묵적 비용도 포함한다. 교재의 <그림 13-1>을 참조. 기회비용의 개념은 이미 제3장에 나왔음. 즉 대학을 다니는 (기회)비용은 등록금과 교재,학용품비라는 명시적 비용과 그 기간 동안 직업현장에서 벌 수 있는 암묵적 비용을 포함하는 것.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비용'이 기회비용 개념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경쟁)시장에서 기업활동을 정상적으로 했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윤(normal profit)개념이 '비용'에 들어있다는 것. 따라서 기업활동의 목적인 '이윤'이 0(zero)보다 크다는 것은 정상이윤을 초과하는 이윤(excess profit)을 얻고 있다는 것이며, (뒤에 나오지만) 그것은 오직 독과점상태일 뿐 경쟁시장의 장기균형에서는 불가능하다. 되풀이. 경쟁시장에서 기업의 이윤이 0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이윤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정상이윤 이상의 이윤(=경제학적 이윤)이 없다는 뜻.
=10= 매몰비용은 생략해도 되겠는데, 돌발퀴즈를 풀어야 하니까 봐 놓읍시다


=11= 돌발퀴즈 1
=12=13= 단기와 장기가 1년 전후냐, 3년 전후냐 등과 같이 특정의 시간개념으로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고정비용이 있는 기간은 단기, 그 고정비용도 변화 가능하면 장기....대체로 설비투자비용은 고정비용, 운영자금은 가변비용. (최장기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기술변화를 포함시키는 경우. 장기까지는 기술불변 가정.) 그래서
=14...17= 중요한데, 화면자료에 설명이 잘 나와 있으니까
다시 설명하면, ATC=TC/Q=(TFC+TVC)/Q=TFC/Q + TVC/Q = AFC+AVC
한계비용 개념 주목!


=18= 돌발퀴즈 2
=19=20= 한계비용은 산출량 증가와 함께 늘어난다. 한계생산체감의 법칙과 관련. 한계생산체감의 법칙이란 생산요소 투입을 늘려가면 처음에는 생산량이 많이씩 증가하다가 점차 그 증가폭이 약해진다는 것. 모내기할 때 논에 사람이 많을수록 생산량이 부쩍부쩍 늘지만 어느 정도 이상으로 늘어나면 모를 밟아 죽이는 상황이 발생할 것. 공장에서도 근로자 숫자가 늘면 기계가동을 늘릴 수 있어 생산량이 쑤욱쑤욱 늘지만, 정도 이상으로 많아지면 사람끼리 부딪쳐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것.
이 때 근로자 숫자에 1인당 인건비를 곱하면 비용. 즉 한계비용과 생산량 증가는 비례.


=21=22= 그림에서 AVC곡선이 직선으로 그려져 있는데, 정확하게는 U자형의 곡선. 위치는 ATC 곡선보다 낮은 곳에. 그리고 AVC, ATC곡선 모두 그 최저점을 MC곡선이 지나감.
=23= AFC곡선은 (x,y)좌표평면에서 y=a/x 곡선과 같은 것. AFC=TFC/Q이기 때문에.
=24= U자형 ATC곡선에서 하강하는 영역은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는 곳, 상승하는 영역은 규모의 불경제가 작용하는 영역.
=25= 그 최저점이 효율적인 생산량 표시


=26= 새로 추가되는 비용이 현재까지 평균총비용보다 작으면, 평균총비용은 하락할 것.
새로 추가되는 비용이 현재까지 평균총비용보다 크면, 평균총비용은 증가할 것.
마치 3학년 들어서 새로 수강한 과목의 평점이 2학년까지의 평점 평균보다 낮으면 총평균은 하락할 것이고, 높으면 총평균은 상승할 것.
=27= 왜 그럴까?
=28= 교재에는 규모의 비경제라 번역했네...보통 규모의 불경제라 부르는데...
=29= 비용관계 잘 알아놓고, 그림을 안 보고 자동으로 그릴 수 있어야 함.

수고했습니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큐]제15장 독점시장  (0) 2001.01.23
[맨큐]제14장 경쟁시장  (0) 2001.01.23
[맨큐]제12장 조세제도  (0) 2001.01.23
[맨큐]제11장 공공재와 공유자원  (0) 2001.01.23
[맨큐]제10장 외부효과  (0) 2001.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