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Content Management의 최강자는 누구일까?

B2B 시장이 보다 더 완벽하게 돌아가기 위해서는 수많은 솔루션업체들이 서로 협업관계를 맺어야 한다. 이와 같이 B2B 시장에는 단순히 하나의 솔루션만이 존재하기 보다는 서로의 특정영역에서 자신의 노하우를 구축하면서 다른 업체들과 협업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 Content Management 분야도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이는 처음에는 B2C 영역을 중심으로 발전했지만, B2B 시장의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지금까지 축적한 노하우를 활용하여 B2B 시장으로 적극적인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Content Management란?

여기서 Content Management란 무엇일까?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다른 기업과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를 전문적으로 공급해주는 웹매거진이 있는데, 자신의 뉴스를 야후, 라이코스와 같은 제휴업체에 공급할 때 발생되는 컨텐츠 개발, 공급프로세스 등을 좀더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를 좀더 발전시키면 B2B 거래에 있어서 개인화 서비스, 협업 마케팅, 서로간의 정보전달과 같은 문제까지도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 Management의 최강자는?

최근 포레스트 리서치의 TechRanking에서는 Content Management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한 순위를 발표하였다.
여기서 최고의 점수를 받은 기업은 Open Market의 Content Server 3.1으로서 5점 만점중 3.0을 받았다. 이 회사가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은 컨텐트 생성(Content Creation), 빠른 처리속도(Library Service), 개인화(Personalization), 전달(Delivery)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Documentum사의 4i 4.2로서 5점 만점중 2.9를 받았다. 여기서는 특히 컨텐츠 저장관리(Repository management), 작업 흐름도(Workflow)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개인화 및 컨텐트 생성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브로드비전으로서 2.8점을 받았다. 여기서는 XML 기반기술을 가진 BladeRunner를 인수했기 때문에 XML 기반의 컨텐츠 저장관리(Repository management), 작업 흐름도(Workflow)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아직까지는 BladeRunner와 자신의 솔루션과의 통합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Vignette도 브로드비전과 마찬가지로 2.8점을 받아서 공동 3위를 하였는데, 여기서는 컨텐츠 올리기(Publishing) 및 전송(Delivery) 기술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지만, 위에서 언급된 기능의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D2B e-Marketplace  (0) 2001.01.25
B2B 전개와 기업대응방안  (0) 2001.01.25
시험대에 오른 신경제(A Test for the New Economy)  (0) 2001.01.25
T-커머스 뜬다.  (0) 2001.01.25
e-customer 분석과 positioning 전략  (0) 2001.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