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J.Biscoff, R.Detje(포드니즘 후기평가)

J.Biscoff, R.Detje

2.포드주의 발전단계로부터 포스트포드주의적 단계로의 시기 설정
자본주의의 장기적 발전에 관한 이해와 설명은 사회화형태와 조정양식 간의 "비감퇴적" 관련에 관한 명제에 입각한다.
행위하는(handelnden) 개인과 계급의 사회적 실천은 자본관계의 역사적 발전의 구성요소로서 파악되어야 한다. 그때에(dabei;동시에?) 임금관계에 기본적인 의미가 주어져야 한다. 그것은 생산과정에 있어서 노동력 활용에서의 모든 경과(Vorg nge;사건들?)를 포함하며 생산과정이 모든 사회적 소비와 생활형태와 결합되어 있는 축이다. 그리고 그것의 조정은 축적과정의 안정성을 결정한다. 장기간의 포드주의적 활황의 비밀은 생산성 향상과 같은 정도로 구매력을 발전시킨 개인적 및 사회적 임금의 상승율에서 찾아진다. 노동조합과 국가에 의해 지지된 임금의 지속가능성은 생산성이 이제 더 이상 과거에 일상적인 수준으로 상승될 수 없을 것 같은 포드주의의 위기의 중효한 요소로 되어버린다.
......자본주의의 현 발전단계에 관한 논의에서 더욱 중요한 것은 포드주의에서의 노동력 재생산의 포괄적인 이행이 국독자론 록은 장기파동이론 영력에서의 단계관점에 의해 제시된 단계구분과는 nicht unwesentlich 구별된다는 점이다. 결정적인 것은 시장구조(=독점화)의 변화나 토대혁신(Basisinnovation;기반혁신?)의 집적이 아니라 임금관계의 변화이다.'포드주의'와 '테일러주의'는 그 일관된 분석의 핵심개념이다.
맑스이론에 관한 비판적인 수정과 그람시에 입각한 진전에 의지하여 축적 및 구조이론적 가정이 성립함으로써,자본주의사회의 현실의 발전은 축적을 통해 추동되고 위기(26)에 의해 매개되는 일련의 비교적 안정적인 사적 구성체로서,즉 당해 특정 축적모델과 그에 독특한 헤게모니구조를 통해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조정모델을 통해 특징지워지는 사적 구성체로서 개념지워진다.자동차 제조업자 포드에 의해 실현된 대규모 생산체제와 그와 함께 가능해진 제품 염가화가 특정한 축적모델과 발전모델을 이루었으므로 70년대 중반에 끝난 발전단계는 포드주의국면으로 규정된다.포드 공장에서 실현된 생산조직적 개념을 사회 경제적 범위로 포드주의 개념의 轉用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정당화되어 20세기 중반 수 십년의 자본주의가 세계적으로 각인한 구성체의 구조를 핵심에 포함한다. 마침내(letztlich;최근에?) 포드주의적 자본주의 발전단계의 종말에 관한 토론은 포스트 포드주의적 축적모델과 사회모델로 우리가 이행하고 있는지 혹은 이미 그렇게 되어서 이 단계변화로부터 어떤 정치-문화적 발전을 낳을 것인지에 관한 질문에 이르렀다.(27)

3.포드주의 혹은 아메리카니즘
테일러주의적 노동조직의 결과 이루어진 무한한 생산성 상승과 함께 비로소 급속한 자본축적이 실현되었고 그와 함께 엄청난 사회적 구조변화를 겪었다. 전반적인 사회관게의 새로운 형성은 그러나 토대에서의 변화의 자동적인 결과가 아니라 위기과정과 상응하는 사회적 힘관계의 구성에 의해 매개된 것이다. 축적전략은 우선 기존의 정치-제도적 및 헤게모니 구조와 충돌했다:..... 조정위기로부터 그에 고유한 케인즈주의적 조합주의의 사회-제도적 편성과 함께 사회국가가 발전했다.사회 및 복지국가는 포드주의적 사회화형태의 필수적인 구조 및 기능요소를 형성했다.....(29)
1....고루한 사회적 전통적 관련으로부터의 개인의 자유는 충분히 해방의 진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품 및 임금형태의 일반화를 뜻하는,사회의 자본주의화는 전통적인 사회화형태의 해체와 함께 주체에게 결합된 고루함,한계 억압관계를 해체했다. 마찬가지로 "포드주의 이론가"는 자본주의의 현대화의 결과로서 "개인화 추동"의 실증적으로 부인할 수 없는 요소를 간과할 수 없다;"포드주의적 단계"는 소비의 규격화와 표준화로만이 아니라 생활수준의 발전과 함께 다양해진 소비 및 생활양식으로 특징지워진다.생로운 욕구와 감수성,많은 임금노예에 대해 복지가능성과 발전의 기회를 성립시켰다."포드주의이론"에서 대중(massen;대량?)노동자와 표준화한 대중적(massen;대량의?) 개인이 형성되었음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個人性이 발전하는 兩面性(ambibalenz)이 확대된다."포드주의적 자본주의에 각인되는 '문화적 자유화과정'의 결과가 명확하게 입증된다. 그것은 해방된 가치변환,운동과 주체의 조작적 식민화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요구한다.(33)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간의 상관을 일차원적으로 구성하는 대신에 주체성과 생활양식 영역의 이질화의 모순적인 발전이 주어진다. 임노동의 차원을 간접적인 지배관계로 만들어서 자유로운 자기결정과 개인적 필요에 관한 결정이 자본의 문명화작용의 본질적인 계기를 포함를 포함한다....임노동은 결코 직접적인 예속 혹은 노예관계가 이니다. 그러나 이런 형태적 특성은 자유로운 노동자들의 활동을 노예의 그것보다 훨씬 집약적,지속적,가변적,숙련적이게 한다...일면적인....
2....자본주의적 생산관계가 임금의 매개적이고 은폐된 기본형태에 입각하면 이 생산양식은 일면적인 사회구조의 의미로 축약될 수 없는 새로운 상부 및 하부구조의 관계를 낳는다...해방적인 잠재력..."새로운 사회운동은 위기에만 반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전된 포드주의의 긍적적인 업적과 연결된다.교육,수입,사회국가적 Absicherung은 개인적 자원을 정치적으로 참여하는데 고무하는 효과를 낳는다.번영하는 포드주의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비제도적 행위에 필수적인 시간과 능력을 부여한다. 전통적인 교회적,피티적 환경의 해체,그와 결합된 문화적 자유화는 개인적인 행위의 대안을 확장한다. (34)
사회국가의 역할...사회국가의 이전지불과 그와 결합된 개인적인 발전의 기회는 임금노예의 여러 편성 아래 불균등하게 배분되기도 하지만 그것이 다른 해방적인 잠재성을 해방시킬 때 배타적으로 체계안정화되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이런 양극화는 물론 그런 해방적인 작용을 이론적으로 배제하여 현실적으로 분명한 "신사회운동"을 한정한,임금관계에 관한 일면적 파악과 사회국가에 관한 결정론적 기능화의 결과이다.
포드주의 이론과 더불어 주체 내지 계급의 행위는 단지 자본운동의 반영으로만 인식한 암묵적인(vermeintlich) 맑스주의적인 환원주의(Reduktionismus)는 제거되어야 한다....그 결과 임금종속자의 모든 생활영역은 생산과정에서 노동력 활용에 종속됨으로서 배타적으로 정의된다는 상당히 견고한 경제주의가 기묘하게 성립한다.
생산성이 증대됨으로써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시간과 사회의 모든 지식이 자본에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만 전유되기 때문에 임금종속자는 자본에로의 노동력 포섭에 의해 각인되지 않는 인간성을 형성할 수 있다. (35) 노동조합 조직과 사회국가의 관여는 이 과정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인간성(Prs nlichkeit)의 모순과 여러 임노동자 분파의 불균등한 발전기회(가능성?)이 명확하다;그 조건이 사회적 힘관계에 달려있기 때문에 그들의 지위는 불안정하기도 하다.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것이 Hirsch와 Roth가 신사히운동에 직면하여 추론한 것 처럼 선진자본주의(포드주의)의 위기의 산물로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번영하는 자본관계의 문명화 측면에 속한다는 것이다....전반적인 종속관계의 영역에서의 개인들의 자립성으로부터 전반적인 임금종속자의 반대되는 태도의 가능성도 역시 성립하며 해체요인으로서 경제적 위기만 상정하지 않는 특정한 사회운동만을 성립시키는 것은 아니다.
3.포드주의 이론의 가설로부터 사회적 전환 혹은 구조화위기가 설명되지 못한다. 어떤 조건에서 대량생산으로부터 유연작업으로 이행이 이루어지는지가 개발되어야 하며,임금종속자의 모순적인 생활양식으로부터 생활스타일의 개인주의화경향과 복수화가 육성되는지 지적되어야 한다.한 극에 대량생산 대량소비가 배치되고 다른 극에 개인성 복수성 유연작업체제 등이 배치되면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이행은 거의 설명되지 않는다.
4.이러한 생각을 일단 제쳐놓더라도 "포스트포드주의 시대"의 기본적 차원에 관해 거의 긍정적인 얘기를 할 수는 없다는 유보가 남는다."超공업화"의 기초 위에 새로운 번영konstellation이 주어지는 것은 이라는 견해가 토론 속에서 일반화되어 있는 것은 타당하다."포스트포드주의적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공업적 상품생산의 중요성이 퇴조하고 다양한 서비스영역의 뚜렷한 증대로 특징지위진다.....(36)

4.그람시의 포드주의 분석
....혁신과 급속한 자본축적에 의해 새로운 장기순환을 개시하는 것은 기술의 질적 변화에 달려있다는 환상에 그람시는 동의하지 않는다..(39)..공업생산과 그외의 생활관계에서 새로운 "합리형(Rationalit tstypus)"이 일정한 지향점으로 되는가가 사회적 힘관계를 결정한다."새로운 노동방법이 생활과 생각,생활감각의 일정한 양식과 불가분하게 결합되어 있다;인간은 다른 영역에서의 뚜렷한 성과없이 한 영역에서 결과를 획득하지 못 한다"는 일반적인 명제를 그람시는 강조했다....(40)

5.새로운 시대:포스트포드주의 ?
...포드주의적 자본주의 발전단계의 가설은 극히 이질적인 현상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려는 요구를 통해 훨씬 매력적으로 된다:포드주의적 발전단계에서는 일상생활과 문화-상징적 형태가 거대숫자의 법칙,대중노동자로 확정되었다;대량생산이 일정한 사회적 성격을 낳았다:평균적 개인으로 개인의 익명화와 동질화가 사회적 관계를 각인했다:...
대량생산의 종말은 생활스타일의 미세한 차이와 복수화를 낳는데서 niederschlagn.개별성의 승리와 함께 사회국가적 규제는 그 매력을 상실했다. 국민적(Volks-) 혹은 대중정당(Massenparteien)의 종말과 신사회운동 성립과 함께 개별성의 시대로 이행이 개시되었다.(54)
...포드주의적 자본주의 발전단계에 관한 명제에는 미국이 자본주의세계체제의 헤게모니국가로 등장한 것을 반영하였다..... 공업생산양식의 포괄적인 현대화 위에 관철된 전반적 사회관계와 생활양식의 변혁이 다른 자본주의 중심을 낳지 않을 것 같다. 유럽과 일본의 파시즘 붕괴와 구식민지체제 해체 이후 "포드주의" 혹은 "아메리카니즘"의 일반화가 이루어졌다... 국독자의 마지막 발전단계에서 "자유경쟁"단계로부터 "독점"국면으로의 이행을 설명하는 맑스주의진영의 장기간 널리 유포된 가설은 세계시장에서의 구조변동과 생활양식의 혁신을 설명하지 못한다.맑스주의의 위기...알뛰세....(55)
물론 포드주의 단계로부터 포스트로드주의 단계로 이행에 관한 가설은 일련의 모순과 불확정성을 드러낸다. 미국 헤게모니의 포괄적인 하락을 반영하지도,자본주의 세계체제 내부의 불균등성과 모순들을 고려하지도 못한다. 급속한 자본축적의 새로운 발전단계 형성은 "포드주의"의 축약모델에 의해 체계적으로 구성된다:새로운 기술을 입증하는 외에 구체적인 명확성이 존재하는 포스트 포드주의 시대는 포드주의 발전단계의 회복으로 보인다;정밀전자와 생물공학이 새로운 공업의 시대와 급속한 자본축적의 새로운 국면을 야기한다.
이러한 파악과 함께 선진자본주의국 내부에서 중심적인 구조변동을 고려되지 않는다공업의 상품생산 영역 바깥으로의 강한 충동은 그러한 경향을 거스르지 못한다:소위 서비스부문이 모든 소득의 50% 이상,취업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공업의 상품생산에 있어서 모든 합리화진전은 서비스부문에서의 새로운 형태역할부문을 개시한다. 신보수주의는 모든 3차산업을 자본의 투자대상으로 바꾸려고 한다. 공적 서비스 공급의 감축 혹은 폐지는 민간 가계가 그 수요의 상응하는 범위에서 시장관련 서비스로 증대되지 못한다. 사회국가의 이전지불과 규제의 해체,공적 서비스의 퇴조는 임금취업자에 대해 생활의 질을 명확하게 악화시키고 체제의 경제적 불안을 증가시키게 된다....(56)(-->사회적 적대감 증대,사회적 재생산과정 불안정 증대..;103)

1.대량생산의 종말과 유연작업방식으로의 이행

2.포스트포드주의적 발전단계로서 자본주의적 서비스사회 ?]
사회적 물질대사의 특정한 형태는 생산물의 실제적 운동을 포괄한다. 상품유통(Zirkulation)은 여기에서는 사회의 Verkehr에서 Eigentumstitel an der Sache이기 때문에 물질적 운동없이도 이루어진다.
자본주의적 생산의 진보와 함께 교통 통신수단의 발달은 주어진 상품량의 회전(Umlauf)기간을 짧게 하여 자본주의적 생산의 진보를 이루고,교통 통신수단의 발달과 함께 그러한 가능성은 세계시장을 위해 일할 필요성으로 된다. 먼거리에까지 수송되는 상품의 량이 막대하게 늘어나고 따라서 회전기간 중 상품자본 단계에서 장기간 존재하는 사회적 富의 부분이 절대적으로,상대적으로 존재한다. 이와 함께 직접적인 생산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대신 수송 통신수단으로서,또 그런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고정자본과 유동자본이 충용되는 사회적 부의 부분이 동시에 늘어난다.
.....신용제도 은행제도,....주택임대업.........
신용기구 보험 주택임대업이 1976년에 전체 경제에서 가치생산의 10%를 차지,...이들 직업의 개인적인(personalarmer) 성격에도 불구하고 전체 취업인구에서의 비중이 증가했다......(88)
생산성 격차--> 고용구조 변화
2차대전 이후 서비스부문의 괄목할만한 확대-->주로 공공 국가서비스(교육 연구 건강 Assekuranz)의 팽창에 따른 것<89>
# 운수--사용가치의 위치존재가 변화하면서 사용가치 자체의 변화가 발생<94>
# 물적 생산을 위한 서비스--노동준비,경영,통신기술과 관련이 특힣 있는 특정 사회적 분업의 차별화는 예컨대 엔지니어영역 소프트웨어산업 개발 및 기획분과 등 공업생산 내지 생산되는 개별영역의 중심영역으로부터 확장되고 자립화한다.<95>
# 고유한 의미의 서비스--수입에 대한 순수한 교환,조수입에 불생산적 노동의 참여가 발생한다. 이 서비스의 사용은 소비가능한 사회적 부 및 조생산의 확장을 의미하지만 사회적 순생산의 부분은 아니다.......<96>
# 사회적 노동체제에서의 서비스의 균형조정--.....
자본주의경제의 적대적 계급구성-->자본소득 증가>노임소득 증가-->서비스부문 확대...<98>전후 공업생산의 급속한 축적과 서비스부문 확대를 통한 농업의 대규모 효율화,80년대 이후에는 이러한 급격한 구조전환을 통한 발전경향이 더 이상 아닌 것으로 <99>
서비스영역의 80% 정도는 시장적(-bestimmt);더 많은 부분이 기업의 생산적 소비와 관련되며 더 적은 부분이 개인적 소비에로. 물적 생산과정에서의 직접노동은 점점 의미를 상실해 간다.<101>


3.현대화와 사회국가

4.대중의 소멸

1.신보수주의에 대한 대안

2.희망의 담지자로서의 노동조합?

3.정치적 좌파의 기회
...노동의 집약화에 대응한 노동시간 단축은 여가와 문화에 직접적으로 쓰일 수 있는 시간은 아니라 하더라도 필요한 시간을 증대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