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설지공/경제경영
2001. 1. 24.
[칼맑스]맑스경제학의 체계
맑스경제학의 체계 1. 자본주의를 완전히 분석하기 위해 자본, 토지소유, 임금노동, 국가, 대외무역, 세계경제라는 여섯 권의 책을 계획한 것 같다. 2. {자본론} 세 권에서 맑스는 자본주의의 기본적인 구조와 동학(또는 '이상적 평균' ideal average)을 제시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자본, 임금노동 그리고 토지소유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형태의 자본(예: 독점자본)이나 임금노동(예: 노동조합)이나 토지소유(예: 소농)는 맑스 이후의 연구자들의 몫이 된다. 3. 국가, 대외무역, 세계경제에 관해서 맑스는 어떤 체계적인 연구를 남긴 것이 없다. 따라서 힐퍼딩의 {Finance Capital}(국역. {금융자본}, 새날, 1994)과 레닌의 {Imperialism}(국역. {제국주의}, 백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