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관치금융(官治金融) 관치금융(官治金融) 정부가 금융을 지배하는 것을 뜻한다. 우리나라는 과거 국가 주도의 경제 성장을 거듭하면서 정부가 금융기관을 장악해 왔는데 IMF 이후 본격적으로 관치금융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졌다. 외환위기로부터 시작된 경제위기는 금융시장의 혼란을 초래했다. 또한 정경유착에 의한 자의적인 금융정책과 간섭이 경제회생의 걸림돌로 지적되는 등 전면적인 금융개혁이 요구됐다.이에 정부는 은행 인사와 대출에 관련된 사항을 자율화하는 등 시장경제원리에 입각한 금융정책을 펴 관치금융의 폐해를 없애기로 했으나 정부의 간섭과 대응을 두고‘신관치금융’이라는 비판이 대두되고 있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관치금융(官治金融) 관치금융(官治金融) 정부가 금융을 지배하는 것을 뜻한다. 우리나라는 과거 국가 주도의 경제 성장을 거듭하면서 정부가 금융기관을 장악해 왔는데 IMF 이후 본격적으로 관치금융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졌다. 외환위기로부터 시작된 경제위기는 금융시장의 혼란을 초래했다. 또한 정경유착에 의한 자의적인 금융정책과 간섭이 경제회생의 걸림돌로 지적되는 등 전면적인 금융개혁이 요구됐다.이에 정부는 은행 인사와 대출에 관련된 사항을 자율화하는 등 시장경제원리에 입각한 금융정책을 펴 관치금융의 폐해를 없애기로 했으나 정부의 간섭과 대응을 두고‘신관치금융’이라는 비판이 대두되고 있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디플레이션(Deflation) 디플레이션(Deflation) 인플레이션의 반대 의미로 광범위한 초과공급이 존재하는 상태다.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을 가져오지만 디플레이션은 물가 하락을 가져온다. 생산과잉이 공급과잉으로 이어져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 디플레이션은 호경기와 불경기 교대시기에 주로 발생하는데,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정책적 디플레이션이 있다. 정책적 디플레이션은금융긴축이나 재정긴축 등으로 나타난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보장 자산 [시사&상식] 보장 자산 Update : 2007-01-15 보장 자산은 실제로 가지고 있는 자산이 아니고 위험에 대비하는 것으로, 사망 보험·건강 보험·재물 보험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평소에 보장 자산으로 지출되는 금액은 비용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크다. 최근에는 모 보험사가 ‘보장 자산 바로 알기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이 보험사는 보장 자산을 가장에게 예측하지 못한 위험이 발생할 경우 가족이 받을 수 있는 사망 보험금의 총액인 동시에, 부동산·유가 증권 등 실물 자산과 함께 가족이 안정된 생활을 하게끔 도와주는 재정적·심리적 안정 자산이라고 광고하고 있다.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등 여러 가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자산 항목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자산 중..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핫 머니(hot money) 핫 머니(hot money) 국제금융시장을 이동하는 단기성 자금을 말한다. 각 국의 단기금리의 차이, 환율의 차이에 의한 투기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국내 통화불안을 피하기 위한 자본도피 등 두 종류가있다. 핫머니의 특징으로는 ▶ 자금 이동이 일시에 대량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 자금이 유동적인 형태를 취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핫머니는 외환의 수급관계를 크게 동요시켜 국제 금융시장의 안정을 저해한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카르텔(cartel) 카르텔(cartel) 기업연합(企業聯合). 동종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서로 가격이나 생산량, 출하량 등을 협정해서 경쟁을 피하고 이윤을 확보하려는 행위. 우리나라에서는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준조세 준조세 세금은 아니지만 세금과 같이 반드시 내야 하는 부담금. 골프장, 극장 등의 입장료에 붙는 체육진흥기금, 문예진흥기금이 대표적이다. 기업에 자금부담과 원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각종 서비스 시설의 입장료를 올리는 효과를 낸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콜(call loan, call money) 콜(call loan, call money) 금융기관이나 증권회사 상호간의 단기 대부·차입으로‘부르면 대답한다’는 식으로 극히 단기로 회수할 수 있는 대차이기 때문에 콜이라 한다. 공급자 측에서 보아 콜론(call loan), 수요자로 보아 콜머니(call money) 라고 부른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경기선행지수(景氣先行指數) 경기선행지수(景氣先行指數) 경기동향에 관한 각종 경제통계 중 경기의 움직임에 선행하여 움직이는 지수를 말한다. M₁(통화, 통화량) = 현금통화 + 예금통화 M₂(총통화) = M₁(통화량) + 저축성예금 M₃(총유동성) = M₂(총통화) + 제2금융권의 각종 예수금 및 금융채, CD M₃는 총유동성(總流動性). 총유동성은 총통화(M₂)에 증권·보험·은행신탁 등 제2금융권의 각종 예금을 모두 포함시킨 것으로 가장 넓은 의미의 통화지표이다. 통화지표란 시중에 돈(통화)이 얼마나 풀려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통화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한국은행이 작성하는 통계 숫자를 말한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리보금리(LIBOR) 리보금리 (LIBOR·London Inter-bank Offered Ratio) 런던의 금융시장에 있는 은행 중에서도 신뢰도가 높은 일류 은행들이 자기들끼리의 단기적인 자금 거래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단기금리. 리보금리는 세계 각국의 국제간 금융거래에 기준금리로 활용되고 있으며 세계 금융시장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지만, 장기금리까지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이다. 보통 리보 금리는 3개월 짜리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트리플 약세(triple weak) 트리플 약세(triple weak)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 빠져나온 자금이 해외로 유출돼 환율, 주가, 채권가격이 동시에 하락하는 현상. 경제위기와 신용등급의 하락으로 채권가격이 떨어지면서 금리는 올라가고 고금리는주식 시장의 약세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 때 투자가들이 자금을 해외로 빼내가면서 통화가치도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은 환율하락이 가속화되는 것을 우려해 주식이나 채권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내다판다. 출처 : 대학과 미래 형설지공/기타 2007. 2. 21. [시사상식] 스프레드(가산금리) 스프레드 (가산금리) 스프레드란 세계 기준금리인 리보와 실제 자금거래 결과 나타난 금리 차이를 말한다. 예컨대 외국에서 달러를 빌려올 때 리보가 연 5%이며 실제 지불하는 금리가 8%라면 그 차이에 해당하는 3%를 스프레드라고 부른다. 차율인 3%포인트는 이를 취급하는 금융기관의 수수료수입이 된다. 외국에서의 달러 도입은 일반적으로 리보에 몇 %를 더 얹어주는 형태로 결정되기 때문에 스프레드는 가산금리라고도 부른다. 따라서 스프레드는 국제금융시장의 기준금리인 리보와 얼마나 차이를 보이는지 나타낼 뿐만 아니라 융자를 원하는 기관의 신용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다. 출처 : 대학과 미래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9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