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대평가된 선수 혹은 과소평가된 선수 |
![]() |
축구 경기를 즐겨보는 편이다. 특히 월드컵이나 올림픽, 한·일전의 경우는 빼놓지 않고 보는데 우리나라 선수들이 잘 하면 다행이지만 시종일관 답답한 플레이만 펼쳐 안 보느니만 못할 때도 많다. 그 중에서도 경기 흐름을 저해하는, 그러니까 저 선수는 왜 들어갔지 할 정도로 경기력이 떨어지는 선수가 간혹 있는데 그럴 땐 친구와 함께 육두문자를 써가며 그 선수에 대한 욕을 퍼붓는다.(그 선수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도 없고 경기가 끝나면 새까맣게 잊어버리지만 당시엔 꼭 그렇게 흥분을 한다.) |
![]() |
![]() |
직장생활을 하면서 힘들고 답답한 경우가 어디 한두 가지겠냐만 가장 미쳐 돌아버리고 싶을 때는 아마 자신의 능력이 제대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다고 느낄 때일 것이다. 더 나아가 이런 직장에서 썩기에는 내 능력이 너무 아까운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다들 한두 번씩은 해봤을 것이다. 실제로 얼마 전 발표된 설문조사를 보면 이러한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한 온라인 취업사이트에서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설문 참여자의 45.1%가 ‘현재 직장에 근무하기엔 자신의 능력이 아깝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또한 68.1%는 스스로를 핵심인재 또는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인재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신의 업무능력에 상당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 |
![]() |
물론, 자신감은 있는 것이 없는 것보다야 백배는 더 낫다. 그런데 항상 이런 자신감에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단어가 하나 있으니 바로 자만심이 그 주인공이다. 문제는 이러한 자만심이 자칫 구직활동에도, 직장생활에도 엄청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자신의 능력, 역량, 위치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뒷받침되지 않은 자만심은 눈높이차를 불러올 뿐이다. 연봉도 많고, 사원복지도 좋고, 사회적 인지도도 높은 그런 회사에 취직하고 싶은데 지원할 때 마다 쓰라린 실패의 경험만 맛봤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은 중소기업은 자존심이 허락지 않아 취업하기가 싫다면 스스로의 자신감, 아니 자만심에 대해 다시 한 번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운’이 없어서가 아니라 ‘실력’이 없어서 취업에 실패한 것일 수도 있다. 좀 더 핵심적인 업무를 수행하면 훨씬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데, 그만큼 이 회사에 있긴 아까운 존재인데도 불구하고 회사에서 자신에게 핵심적인 업무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면 그것은 회사가 ‘사람 보는 눈’이 없어서가 아니라 당신에게 ‘그만큼의 능력’이 없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를 일이다. |
![]() |
![]() |
긍정적인 삶의 자세와 자신감은 자기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하지만 그 앞에 ‘근거’라는 하나의 단어가 덧붙여져야 한다. 지금 당장, 주관적인 느낌이 아니라 객관적인 잣대로 나를 평가해 보자. 나는 어떤 일을 할 수 있고 어떤 전문 지식을 지니고 있는가? 나의 업무 역량은 어느 정도이며 대인 관계 능력은 또 얼마나 발달되어 있는가? 자신감 없는 인재는 발전하기 힘들지만 자신감이 넘쳐 자만심에 이른 인재는 발전은커녕 퇴보를 향해 질주만 거듭 할 뿐이다. |
출처: 사람인
'형설지공 >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업에도 리허설이 필요하다 (0) | 2007.01.05 |
---|---|
모든 회사가 다 내 회사?? (0) | 2007.01.05 |
대학원, 어학연수 꼭 가야 하는 건가요?? (0) | 2007.01.05 |
어디선가 누구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나야 할 사람 (0) | 2007.01.05 |
스트레스를 주무르자. (0) | 2007.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