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일 시대 개막 한 달 |
![]() |
주 5일 근무제가 시작된 지 한 달이 지났다. 처음 시작할 때의 떠들썩함과는 달리 우리의 실생활에 있어 눈에 띌만한 큰 변화는 없어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속도의 문제일 뿐, 변화가 시작된 것만은 분명하다. |
![]() |
![]() |
우선 이거 해볼까, 저거 해볼까 뜬구름 잡기 식의 접근은 곤란하다. 무엇을 할 지 결정하기 전에, 그보다 앞서 꼭 먼저 해야 할 일이 하나 있다. 바로 지금 나 자신의 모습에 대해 진지하게 되돌아보는 시간을 한 번 가져보는 것이다. 물론, 되돌아본다는 것의 내용과 의미는 정해져 있지 않다. 영어가 많이 부족하구나, 건강이 많이 안 좋아졌구나, 더 늦기 전에 악기 하나는 꼭 배워보고 싶은데 같은 아주 구체적인 것에서부터 가족과의 관계는 돈독한가,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일까, 나는 지금 행복한가, 나는 과연 무엇을 위해 사는가와 같은 아주 추상적인 것까지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인지 우선순위를 매겨보자. 주 5일 근무와 함께 우리는 하루를 더 얻었다. 일주일의 1/7을 더 얻은 것이다. 토요일엔 반나절 근무만 했다손 치더라도 1/14을 더 얻은 셈이다. 결코 적은 시간이 아니다. 아니 꽤 많은 시간이다. 이렇게 소중한 시간을 그냥 보내서야 되겠는가. 그래서 우선순위를 한 번 매겨보자고 한 것이었다. 지금 당장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영어라면 그 시간에 당연히 영어공부를 해야 할 것이고, 그 동안 업무로 인해 가족들과의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면 그 시간은 당연히 가족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건강이 많이 안 좋아졌다면 그 시간에 운동을 해야 할 것이며, 삶에 활력소가 없다면 그 시간엔 새로운 취미를 하나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의 시선과 행동에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10명 중 9명이 영어 학원에 가도 지금 당장 나에게 영어가 별 필요 없다면 가지 않아도 그만이다. 좀 더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면 10명 중 9명이 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것은 좋지 않고 오히려 더 심한 월요병을 불러온다고 이야기해도 그것이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피로회복 방법이면 그렇게 해도 무방한 것이다. |
![]() |
![]() |
제 아무리 유명한 신문이나 방송에 제 아무리 유명한 인사나, 시간관리 전문가가 나와서 “주 5일제 근무 시대에는 이러이러하게 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라고 말을 해도 그것은 결국 일반론적인 이야기일 뿐이다. 다시 말해 나에게 딱 맞는 옷, 내 입에 딱 맞는 음식은 결코 아니라는 것이다. 주 5일 시대, 정답은 없다. 주어진 시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가장 꽉 차게 보내는 방법은 현재 자신의 모습에 대한 철저한 성찰을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을 하나하나씩 채워가는 것이 아닐까? |
출처: 사람인
'형설지공 >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부하지만 결국, 사람만큼 큰 재산도 없다 (0) | 2007.01.05 |
---|---|
승부는 "습관"에서 결정 난다 (0) | 2007.01.05 |
직장인들이여, 자기계발 하지 말자?! (0) | 2007.01.05 |
아는 만큼 보인다! 채용공고 파헤치기 (0) | 2007.01.05 |
시작이 반, 승부는 입사지원부터 결정된다 (0) | 2007.01.05 |